테크니션 :: 테크니션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0773

 

10773번: 제로

첫 번째 줄에 정수 K가 주어진다. (1 ≤ K ≤ 100,000) 이후 K개의 줄에 정수가 1개씩 주어진다. 정수는 0에서 1,000,0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정수가 "0" 일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쓴 수를 지우고, 아닐 경

www.acmicpc.net

문제

나코더 기장 재민이는 동아리 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 장부를 관리하는 중이다.

재현이는 재민이를 도와서 돈을 관리하는 중인데, 애석하게도 항상 정신없는 재현이는 돈을 실수로 잘못 부르는 사고를 치기 일쑤였다.

재현이는 잘못된 수를 부를 때마다 0을 외쳐서, 가장 최근에 재민이가 쓴 수를 지우게 시킨다.

재민이는 이렇게 모든 수를 받아 적은 후 그 수의 합을 알고 싶어 한다. 재민이를 도와주자!

입력

첫 번째 줄에 정수 K가 주어진다. (1 ≤ K ≤ 100,000)

이후 K개의 줄에 정수가 1개씩 주어진다. 정수는 0에서 1,000,0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정수가 "0" 일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쓴 수를 지우고, 아닐 경우 해당 수를 쓴다.

정수가 "0"일 경우에 지울 수 있는 수가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출력

재민이가 최종적으로 적어 낸 수의 합을 출력한다. 최종적으로 적어낸 수의 합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예제 입력 1 

4
3
0
4
0

예제 출력 1 

0

예제 입력 2 

10
1
3
5
4
0
0
7
0
0
6

예제 출력 2 

7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a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trip() for i in range(n)]))
list = []
for i in range(0, len(a)):
    if a[i] != 0:
        list.append(a[i])
    else:
        list = list[:-1]
print(sum(list))

- push 연산과 Pop 연산을 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pop는 리스트 인덱싱으로, push는 append로 하였다

 - 중간중간에 프로세스를 확인하기 위해 print 연산을 넣엇으면 답 제출시에는 삭제해야한다

 - sys.stdin.readline()로 입력을 받으면 str로 받기 때문에 연산을 위해서는 int로 변경해야한다

 - 여러 입력을 한번에 받으려면 list(map( 연산을 써야한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0828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4
push 1
push 2
top
size
empty
pop
pop
pop
size
empty
pop
push 3
empty
top

예제 출력 1 

2
2
0
2
1
-1
0
1
-1
0
3

예제 입력 2 

7
pop
top
push 123
top
pop
top
pop

예제 출력 2 

-1
-1
123
123
-1
-1
 
list = []
def push(a):
    list.append(a)
def pop():
    if len(list)>0:
        print(list[-1])
        list.remove(list[-1])
    else:
        print("-1")
def size():
    print(len(list))
def empty():
    if len(list) ==0:
        print("1")
    else:
        print("0")
def top():
    if len(list) >0:
        print(list[-1])
    else:
        print("-1")

push(1)
push(2)
print(list)
top()
size()
empty()
pop()
pop()
pop()
size()
empty()
pop()
push(3)
empty()
pop()

결과

2
2
0
2
1
-1
0
1
-1
0
3

그런데 입력부터 다시 구현해야하네

반응형
반응형

PYKRX를 통해 로직을 만들다 보면 거래 정지 되는 종목들이 잡혀서 원하지 않는 데이터를 만들때가 있다

전체 종목 리스트에서 거래정지 종목을 빼는 코드를 만들었다

거래정지 = 거래량이 0이다

tody_string_PYKRX = datetime.now().date().strftime("%Y%m%d")
# 오늘날짜
tickers_KS = stock.get_market_ticker_list(tody_string_PYKRX)
#당일 전체 종목 받아오기
def list_except_zero():
    df_spi = stock.get_market_ohlcv(tody_string_PYKRX)
    #거래량 받아오는 데이터프레임 생성
    df_spi = df_spi.sort_values(by='거래량', ascending=True)
    #거래량 기준으로 정렬
    df_spi = df_spi[df_spi['거래량']>0]
    #거래량이 0보다 큰 경우만 추출
    df_daq = stock.get_market_ohlcv(tody_string_PYKRX,market ='KOSDAQ')
    df_daq = df_daq.sort_values(by='거래량', ascending=True)
    df_daq = df_daq[df_daq['거래량'] > 0]
    return df_spi.index.tolist()+df_daq.index.tolist()
all_name_except_zero = []
for tic in list_except_zero():
    all_name_except_zero.append(stock.get_market_ticker_name(tic))
    #종목번호를 종목명으로 변경

print(all_name_except_zero =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