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로나 이후에는 금리가 낮아져서 유례없는 저금리였고
현재는 온갖 다양한 스텝들로 많은 사람들이 말하는 고금리가 되었다
하지만 연준은 물가를 잡기위해 여기서 더 금리를 올리겠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다
그러면 연준/ 중앙은행이 원하는 바가 이루어졌을때
한국의 적정 금리는 얼마일까 한번 알아보았다
실질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의 관계는 피셔(I. Fisher) 효과에 의해 설명된다.
즉, 명목 금리 = 실질 금리 + 인플레이션율의 합계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실질금리 : GDP 성장률
인플레이션율 : 물가상승률
모든 중앙은행의 목표는 물가상승률 2% 로 맞추는 것이고
현재 한국의 GDP 성장률 예상은 2%이므로
물가가 잡히더라도
4%가 적정 금리라고 할 수 있다
워낙 저금리때 많은 대출이 이루어져있다가
금리를 올려서 빚을 내 투자한 사람들이 고통을 겪고 있지만
이 고통이 언제 끝날지, 끝나더라도 어느정도로 이어질지 알아보았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 부족 관련 테마 - 프럼파스트 (0) | 2023.03.23 |
---|---|
2023년에 개통하는 철도노선(서부선, 1호선 연장, 8호선 연장) (0) | 2023.03.22 |
AI 가 만들어낼 수혜주 - 메모리 반도체 (0) | 2023.02.18 |
철도운송이 한국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0) | 2023.02.12 |
ELS - 박스권에서 중위험 중수익 (1)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