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니션 :: 테크니션
반응형

최근 주식시장의 하락보다 더 큰 이슈가 미국 부동산 시장의 하락이다

20년 12월 최고점 86에서 현재 46으로 거의 반토막 난 상태이다

8년간 상승으로 전세계 부동산 상승을 이끌었던 모습과 대조되고 있다

미국 주택 건설업 협회는 매달 900여 회원업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신규 단독주택 판매 현황/ 

다음 6개월간 신규 단독주택 판매 예상치/ 

신규주택부지를 방문하는 예상 주택 구매자들의 수

의 가중평균을 낸 것이 NAHB 주택시장지수입니다.

높을수록 경기가 좋다고 해석하면 되는 지수입니다

미국 부동산은 미국소비와 같이 전세계 경제와 직접적 연관이 있는 지수입니다

모기지론(금융)

자재(광업 해운)

가전 가구 (제조 해운 화학)

건자재(폐기물)

중장비(중공업)

시멘트(광업, 에너지)

수도, 전기(유틸리티)

건설(고용)

자동차와 더불어 산업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반등신호가 나와야 주식시장도 턴어라운드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진트리는 트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일정한 형태로 정의한 것이다.

탐색을 위한 자료구조로 저장할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노드의 위치를 정의한 것이 이진탐색트리

(Binary Search Tree) 이다

조건 : 왼쪽 서브트리의 키값 < 루트 키값 <오른쪽 서브트리 키값

샘플을 보자

15가 루트 // 10(왼쪽 서브트리 ) < 15(루트)<20(오른쪽 서브트리)

하위 트리도 정의를 적용해보면 맞는걸 확인 가능하다

장점은 계산 복잡성이 O(logn)으로 빠르다

배열은 순차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확인하며 나아가는 데에 반해서,

이진 탐색 트리는 서치 과정에서 탐색 해야하는 데이터를 줄여 나가기 때문에

데이터 검색 속도에서 더 높은 기댓값을 가진다.

구현(파이썬이라 들여쓰기가 안맞을수 있어요)

class Node:

def __init__(self, value):

self.value = value

self.left = None

self.right = None

class Tree: # Binary Search Tree

def __init__(self):

self.head = None

def insert(self, value):

if self.head is None:

self.head = Node(value)

else:

node = self.head

while True:

if value < node.value:

if node.left is None:

node.left = Node(value)

break

else:

node = node.left

else:

if node.right is None:

node.right = Node(value)

break

else:

node = node.right

def delete(self, value):

if self.head is None:

return False

node = self.head

parent = self.head

check = False

while node:

if value == node.value:

check = True

break

elif value < node.value:

parent = node

node = node.left

else:

parent = node

node = node.right

if not check:

return False

# Case1 No Child

if node.left is None and node.right is None:

if value < parent.value:

parent.left = None

else:

parent.right = None

# Case2 Have a One Child

elif node.left and node.right is None:

if value < parent.value:

parent.left = node.left

else:

parent.right = node.left

elif node.left is None and node.right:

if value < parent.value:

parent.left = node.right

else:

parent.right = node.right

# Case3 Have Two Child

elif node.left and node.right:

current, child = node, node.right

while child.left:

current, child = child, child.left

node.value = child.value

if current != node:

if child.right:

current.left = child.right

else:

current.left = None

else:

node.right = child.right

def search(self, value):

if self.head is None:

return False, None

depth = 0

node = self.head

while True:

if value == node.value:

return True, depth

else:

if value < node.value:

node = node.left

else:

node = node.right

if node is None:

return False, None

depth += 1

def show(self, node, depth=0):

if node is None:

return

print(node.value, depth)

self.show(node.left, depth+1)

self.show(node.right, depth+1)

def print(self):

self.show(self.head)

tree = Tree()

tree.insert(5)

tree.insert(7)

tree.insert(1)

tree.insert(2)

tree.insert(8)

tree.insert(3)

tree.insert(4)

tree.insert(6)

tree.insert(9)

tree.print()

result = tree.search(5)

print(result)

print()

tree.delete(7)

tree.print()

반응형
반응형

현재 코스피가 바닥을 향해 하고 있지만 조선주는 여전히 강하다

특히

이친구가 젤 힘이 강하다는 걸 알 수 있다

매수 추천은 아니고 이번 기회에 조선주 그리고 경기민감주에 대해 알아보자

조선주는 대표적인 경기민감주 중에 하나로서 이를 통해 

말 그대로 경제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목이며

조선 자동차 화학 이런 중후 장대 산업이 해당된다

경기라는 말을 붙였을때 어울리면 맞다고 생각하면 된다

건설경기 / 조선경기 / 자동차 경기/ ......

하지만 이런 말은 쓰지 않는다

의약품 경기 / 칫솔 경기 / 통신 경기

전자는 대량 생산 소비를 통한 변호ㅏ의 폭이 크며 후자는 경제 상황이 달라지더라도 생산 소비가 줄어들지 않는다

경제가 좋아진다 해서 양치질을 더 하고 먹고 있는 약의 양을 늘리고 이렇게 생활하는 사람은 없다

지난 10년간 해운사는 구조조정을 통해서 많은 회사가 사라졌고 한진해운 역시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세상은 완전히 달라졌으며 물류난의 가속으로 해운운임의 드라마틱한 상승은

살아남은 회사들에게만 잔치를 허하였다.

HMM은 구조조정 기간을 버티며 10배 상승을 이룰수 있었고 글로벌 해운사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해운사들은 이렇게 경기가 좋으면 좀 더 큰 이익을 얻기 위해 선박을 발주한다.

해운운임 상승 -> 공급유인 증대 -> 선박발주 -> 총 운임 증가 -> 공급과잉 -> 운임 감소 ->

선박발주 중지 -> 구조조정 -> 공급감소 -> 1번으로

이런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보통 주기가 10년을 넘어간다

배 한척 건조 하는데 3년이 넘게 걸리니 좀 더 큰 주기로 움직이는 시장이다

다른 경기민감주들도 각자의 로직괴 기간을 가지고 순환하게 된다

공산품의 경우 가격 상승 시기에 다량 주문을 통한 물량 확보 움직임까지 보이다가

가격이 내려가기 시작하면 주문을 취소하면서 더 큰 변동성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특히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가스 공급의 다변화가 이루어 지면서

LNG 선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 많은 사람들이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타이밍을 맞추는 것은 쉽지 않으며 이를 통해 생기는 다른 변화, 예를 들면 철강, 화학 수요 변화를 잡을 수 있다면

경제적 자유에 좀 더 이른 시일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